본문 바로가기

:: 두메산골 소개

두메산골 Article

 


 

"땅 주인은 농사를 짓던 논밭을 팔았다고 생각했을 터이지만 나는 이 계곡을 산다는 심정이었지요." 경기도 가평군 축령산 자락 아침고요수목원 왼쪽 울타리를 타고 이어지는 아침고요계곡을 그대로 품고 자리잡은 황토흙집 '두메산골' 민박집. 서울 시청 공무원이던 10년전부터 전원생활을 꿈꾸던 박찬수씨(53)가 산과 계곡이 살아있는 땅을 찾아 손수 만든 삶터이자 자연휴양공간이다.

먹을 수 있을 만큼 맑은물이 흐르는 암반계곡, 통나무다리옆으로 물방울을 뿌려대는 물레방아, 너와 정자와 나무로 만든 쉼터, 황토흙벽에 매달린 정겨운 짚풀공예품들 등  눈에 닿는 것 모두가 박찬수씨와 솜씨좋은 박종식옹(박찬수씨의 부친)이 직접 만들고 조성한 것이다.

앞으로 가족이 살 삶터인데싶어 99년 퇴직하고선 자재 하나하나를 사나르는 것부터 시작, 건축이며 토목, 미장까지 그의 손길이 안간곳이 없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시행착오도 많았다. 좀 에돌아왔다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덕분에 자연과 하나도 배치됨이 없이 똑닮은 황토흙집이 완성된 셈.

 

그가 공무원이 된 이유도 그답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나서 군대를 다녀왔는데도 어려운 집안 형편이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자 스스로 벌어서 대학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선택한 직업이 공무원. 하나하나 손으로 집을 짓듯 뭐든 순리대로 풀어나가는 순직한 그의 성품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76년 마포구 노고산동사무소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그리고 마포구청 새마을과, 강서구청 총무과를 거쳐 목동개발이 한창이던 염보현 시장 시절 목동지구개발사업소에  근무했다.

그러다 시청 건설행정과, 다시 강서구청 화곡7동 사무장과 청소과 서무계장을 할 즈음이 95년. 그리고 지하철건설본부 자재과를 거쳐 마지막 근무지인 시청 문화관광국 체육청소년과에서 퇴직할 때가 99년 5월. 한점 후회없는 22년11개월의 세월이었다. 업무가 주로 건설파트쪽이라 전공(경영학)은 못살렸지만 지금 '두메산골'을 조성하는데도 적지않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그는 앞으로 '두메산골'을 몇 개의 테마정원으로 꾸밀 예정이라고 한다. 물레방아에는 수력발전을 이용해 오색조명을 밝히고, 300m에 이르는 아침고요계곡은 금낭화 메발톱이 어우러진 야생화 전시장으로 꾸민다. 또 짚풀공예품 전시장과 닥종이 인형 전시장, 초화류를 심은 손바닥 정원(작은 정원) 등 토속적이고 정서적인 공간을 만들겠다는 것.
"토요휴무제의 확산을 앞두고 있고, 전원생활이나 휴식문화에 대해 관심도 꽤 높아졌잖아요? 이런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저를 성공한 사람처럼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하지만 그것은 아니란다. 은퇴 이후엔 전원에서 살겠다는 게 먼저였고, 당뇨 합병증 때문에 50m도 걷지 못하던 아버님의 건강회복을 위해 목적의식적으로 땅을 찾다보니 전원정착이 빨라졌다는 것. 그는 처음부터 전원생활을 하면서 경제도 해결해야겠다고 생각하면 실패하기 십상이라고 강조한다.
"우리 식구가 편히 쉬고 휴양할 수 있는 곳이면 남들도 찾아오고싶은 공간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런 다음 경제적인 문제까지 해결된다면 일단 전원생활에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겠지요."

 

 

 Copyright(c) 1996~2002 서울특별시 All right reserved.


':: 두메산골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메산골 펜션  (0) 2010.05.24
두메산골 이야기  (0) 2010.05.24
두메산골 중앙일보 기사  (0) 2010.05.24